며칠 후면 크리스마스가 다가옵니다. 크리스마스 때 다들 뭐 하시며 시간을 보내시나요? 제 경우는 크리스마스는 쉬는 날이란 의미로 집에서 드라마나 영화 보면서 편안하게 보내는 편입니다. 오늘은 문득 저에게 '쉬는 날'이란 의미의 크리스마스에 대해 알아보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크리스마스
크리스마스는 가장 크고 화려하고 가장 중요한 기독교의 축제일입니다. 또한 여러사람들이 다양한 의미로 크리스마스를 기념하기도 합니다. 겨울의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는 크리스마스 축제는 수천 년 전부터 이어져 온 행사입니다.
낮이 가장 짧고 어두운 계절인 겨울은 사람들에게 따뜻함과 빛, 사랑과 우정 같은 것이 필요했습니다. 고대 노르웨이 인들은 아주 긴 장작에 불을 붙인 후 다 탈 만큼의 긴 시간 동안 크리스마스를 즐겼다고 합니다. 보통 12일에 이르는 고대 노르웨이의 크리스마스는 아마도 12일간의 크리스마스라는 전통의 기원일 겁입니다.
반면에 고대 로마는 농업의 신 새턴에게 경의를 표하는 농신제를 동지 즈음의 1주일로 택했습니다. 그 1주일은 쾌락과 혼돈, 무질서가 연일 어어지는 축제였죠. 특이한 건 농신제 기간 동안은 평소와는 정반대로 농민들이 대접을 받고 귀족들이 접대를 했다는 사실입니다. 크리스마스는 원래 기독교의 예배력에 포함되어 있는 날이 아니었습니다. 또한 12월 25일도 성경에서는 언급되어 있지 않습니다.
4세기경 율리우스 교황이 농신제에 기독교적인 색채를 더하기 위한 일환으로써 12월 25일을 교회의 휴일로 정했습니다. 처음엔 '탠생의 축제'라고 했던 관습이 432년 이집트에 전파되었습니다. 영국은 6세기말에 전해졌습니다.
크리스마스 축제를 전통적인 동지 축제와 동일한 시기에 실시함으로써 교회의 지도층에서는 크리스마스를 대중적인 축제로 자리 잡을 수 있는 충분한 기회를 얻었습니다. 하지만 크리스마스를 어떻게 지내야 하는지에 대한 공식적, 구체적 지시를 내리지는 않았습니다.
중세를 거치며 기독교 신앙은 대부분의 이교도 신앙과 이교도의 관습을 대체 했어요.
크리스마스엔 집집마다 불을 밝히고 상록수 장식과 선물을 교환했고 교회에서 예배를 드렸습니다.
하지만 그 일이 후 사람들이 다시 과거에 이교도들이 축제를 즐기는 방식, 술을 마시고 노래하며 흥청망청 법석을 떠는 놀이를 일삼고는 했습니다.
미국은 크리스마스가 정착하는 데 시간이 좀 걸렸습니다. 초기 청교도 정착민들은 신교도인 올리버 크롬웰과 영국에 그가 세운 개혁정부의 영향으로 크리스마스를 지내지 않았기 때문이죠. 미국에 크리스마스가 정착한 것은 19세기에 이르러서입니다. 1870년 의회에서 크리스마스를 휴일로 선포했습니다.
크리스마스의 높은 인기와 그에 따른 종교적 믿음이나 열정과는 무관했지만 문화적인 면에서 많은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미국과 유럽에서는 가족과 아이들을 향한 축제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이런 변화가 생긴 이유는 수입의 증가와 생활의 여유에 따른 소비 수준의 향상 등 여러 가지 요인이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이 모든 변화를 이끌어 낸 가장 근본적인 변화의 핵심은 산업혁명이었습니다.
산업혁명이란 18세기 중엽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혁신과 이에 수반하여 일어난 사회·경제 구조의 변혁을 말합니다.
크리스마스 양말의 유래
전설에 따르면 세 명의 착하고 예쁜 딸을 가진 귀족이 있었습니다.
딸들은 결혼을 할 나이가 되었지만 가난한 아버지인 귀족에게는 딸들에게 줄 지참금이 없었어요. 착한 세 딸들과 그들의 어려운 사정에 대해 전해 들은 성 니콜라스는 그 집의 굴뚝으로 금화 세 주머니를 떨어뜨려 주었죠. 이 금화 주머니를 말리기 위해 벽난로에 널어 둔 딸들의 양말 속에 들어갔는데 그 이후 아이들은 산타클로스로부터 선물을 받기 위해 벽난로 선반이나 집안의 다른 곳에 양말을 걸어놓게 되었다는 이야기다.
다음 글은 산타클로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부동산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1월 30일 출시 된 특례보금자리론 (0) | 2023.03.30 |
---|---|
원가법 (0) | 2023.01.25 |
감정평가 (0) | 2022.12.20 |
부동산 마케팅의 의의와 분류 (0) | 2022.12.12 |
부동산투자의 결정과정 (0) | 2022.1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