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정보

연금저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에 대해 알아보아요

by 포포리치 2025. 2. 23.
반응형

 

노후 준비를 위해 꼭 알아야 할 연금저축과 IRP에 대해 알아보도록 해요.

 

 

 

👉연금저축이란

연금저축은 노후를 대비한 개인연금으로 가입자가 일정 금액을 납입하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고 만 55세 이후 연금 형태로 수령하는 금융상품입니다.

 

🔸연금저축 종류

연금저축보험: 보험사에서 운영, 원금 보장이 되는 것과 안되는 것이 있습니다.

연금저축펀드: 증권사에서 운영하며 펀드 투자 방식으로 수익률이 변동됩니다.

연금저축신탁: 은행에서 운영하지만 신규 가입이 제한됩니다.

 

🔸세액공제 혜택

연간 최대 400만 원까지 세액공제 가능합니다.(IRP까지 포함 시 최대 700만원)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종합소득 4,500만 원 이하): 납입 금액의 16.5% 세액공제됩니다.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종합소득 4,500만 원 초과): 납입금액의 13.2% 새액공제됩니다.

 

🔸연금 수령 시 세금

55세 이후 연금으로 받을 경우 연금소득세 5.5% 부과

중도 해지하면 납부했던 세액공제액과 기타소득세 16.5%를 부과해야 합니다. 손해가 크니 중도 해지는 안하는 것이 좋습니다. 

 

 

👉 IRP(개인형 퇴직연금)

IRP는 퇴직금과 추가 자금을 운용할 수 있는 퇴직연금 계좌입니다. 직장인은 물론 퇴직금이 없는 프랜서, 자영업자도 가입이 가능합니다. 단, 학생, 퇵직자, 전업주부는 가입이 불가합니다.

 

🔸IRP 활용법

퇴직금을 IRP 계좌에 넣어 운용 가능

개인이 추가 납입 가능(연 1,800만 원 한도)

연금저축과 동일한 세액공제 혜택(최대 700만 원 공제)

 

🔸IRP의 장점

세액공제 혜택(연금저축과 동일)

다양한 금융상품(펀드, 예금, ETF 등)으로 운용 가능

퇴직 시 퇴직금을 IRP로 받으면 퇴직소득 절세가 가능합니다.

 

🔸연금저축&IRP 어떤 것을 선택해야 할까요?

구분 연금저축 IRP
가입대상 누구나 가능 직장인, 자영업자, 프리랜서
세액공제 한도 400만 원(IRP 포함 시 700만원) 700만 원(연금저축 포함)
운용 방식 펀드, 보험, 신탁 예금, 펀드, ETF 등 다양
중도 해지 시 세금 기타소득세 16.5% 기타소득세 16.5%

 

 

 

👉결론

연금저축과 IRP를 함께 활용하시면 더 좋겠지만 하나만 생각하신다면 우선 연금저축 쪽을 먼저 시작하시는 것이 낫다는 이야기가 많습니다.

 

그리고 연금저축과 IRP는 노후대책을 위한 것이니 중도 해지시 손해가 큽니다. 5년 이상은 꾸준히 넣어야 하고 55세 이후 연금으로 받을 수 있는 것이니 잘 생각하시어 금액을 조절해서 운영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최근 연금저축에 관심이 생겨 알아보다가 자세한 설명이 담긴 유튜브 영상을 발견했어요. 연금저축에 관심 있으신 분은 아래 영상도 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유튜브링크 : 연금저축펀드, IRP 계좌 9가지 기초정보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