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은 저를 위한 글입니다. 직장에서 사람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많다 보니 생애 처음 위궤양에 걸렸습니다. 약 먹으며 치료 중이에요. 위궤양(소화성궤양)에 좋은 음식이 무엇인지 궁금하여 알아보았습니다.
위궤양은 위장이나 샘상자의 점막이 손상받아 가장 표면에 있는 점막층 보다 깊이 패인 상태를 말합니다. 원인으로는 스트레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헬리코박터균)의 감염, 진통소염제의 복용, 흡연 등이 대표적입니다. 증상을 보면 명치 통증, 메스꺼움. 식욕부진으로 인한 체중감소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궤양에서 발생한 출혈로 피를 토하거나 검은 변, 혈변을 보기도 하고 빈혈이 발생합니다.
이제 위계양에 도움이 되는 음식을 알아보도록 해요.
1. 우유
위궤양의 식사 치료의 기본이 되는 음식이 우유입니다. 열량이 높고 어느 정도의 제산효과가 있고 여러 가지 치유를 돕는 물질이 포함되어 위궤양 치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우유 안에 있는 단백질과 칼슘은 위산분비를 촉진시켜 소화성 궤양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현재 소화성 궤양에 대한 우유의 효과는 명확하게 결정된 것이 없지만 하루 한 잔의 우유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다고 합니다.
2. 섬유소
위궤양 치료 초기에 저섬유식이를 권유했지만 최근에는 섬유소를 제한하지 않고 자유롭게 식사하도록 권유하고 있습니다. 수용성 섬유소의 경우 위궤양 치료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수용성 섬유소란 물에 녹는 식이섬유라는 뜻입니다. 수용성 섬유소는 강낭콩, 완두콩, 귀리, 보리, 아보카도, 양배추, 브로콜리, 고구마, 배, 사과, 당근 등이 많이 함유하고 있습니다. 섬유질은 위내 음식의 샘창자내로의 급속한 배출을 지연시켜 샘창자 궤양의 발생을 줄이고 음식의 저작을 증가시켜 침의 분비 증가로 위산을 중화시킵니다.
3. 비타민
비타민 중 비타민 A가 위장과 샘창자에서 점액의 생성을 증가시키며 스트레스와 아스피린에 의한 소화성 궤양의 발생을 감소시킨다. 비타민 A 는 동물(소, 돼지, 닭)의 간, 지방이 많은 생선, 달걀노른자, 우유와 유제품 등에 풍부합니다. 당근, 단호박, 엽채류, 살구, 귤, 김 등에는 체내에서 비타민A로 바뀔 수 있는 카로티노이드가 풍부합니다. 식사 중의 비타민 A는 지방과 함께 흡수되므로 지용성인 식물성 기름과 함께 볶아서 조리하면 흡수율이 높아집니다.
4. 소금과 양념
옛날부터 소금 섭취량과 궤양발생 연관성에 대한 연구가 시도되었고 소금섭취량이 많을수록 위궤양에 대한 사망률이 증가한다는 보고 있었습니다. 최근까지의 연구에 의하면 염분이 상대적으로 많은 동양의 음식 섭취가 위궤양의 발생을 증가시킨다는 명확한 보고는 없습니다.
자극성이 있는 매운 양념들은 위장점막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있지만 고춧가루 안에 있는 성분들은 실제적으로 위장의 염증을 유발하지 않고 위장과 샘창자의 점막으로의 혈류량이 증가해 오히려 보호 작용을 보이기도 합니다. 후춧가루를 많이 소비하는 지역에서 소화성 궤양 빈도가 오히려 낮고 고춧가루를 먹지 않은 지역에서 소화성 궤양 빈도가 높기 에 아직 고추나 후추와 같은 강한 자격을 보이는 양념류와 소화성 궤양 발생 간의 연관성은 논란이 많습니다. 하지만 위궤양환자는 너무 짜거나 자극성이 심한 향료를 사용 하는 경우 위장관 점막의 자극으로 인해 증상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제 생가엔 그래도 안먹는게 더 나을 것 같습니다. 위에 자극이 될 것 같아요.
그 외 무, 감자, 생마, 토란, 양배추, 죽, 낫또, 생청국장, 미숫가루, 바나나, 브로콜리, 익혀서 간 당근 등이 있습니다. 음식은 대부분 따뜻한 상태로 먹는 것이 위장에 좋으니 참고해 주세요.
공복에 속이 쓰린 경우 생강, 귤, 신과일, 탄산, 초콜릿, 커피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으로 위
'일상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드센스 하위 도메인 기능 삭제에 대하여 (0) | 2023.02.22 |
---|---|
[마인드풀tv]2023 평온하게 가꿔줄 마음챙김 습관 20가지 (0) | 2023.02.20 |
봄철 과일 복숭아, 딸기에 대해 알아봅시다 (0) | 2023.02.16 |
카톡 친구 차단 및 광고 차단 방법 (0) | 2023.02.15 |
2월 14일 밸런타인데이를 알아보자 (0) | 2023.02.14 |
댓글